top of page

민  화 반

mi.jpg

전원숙 교사 작품

1)민화의 의미 • 민화는 사물을 묘사하는 데 의미를 두지 않고 대상이 가지고 있 는 의미와 상징성을 빌어 의사를 표현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덕 담과 기원을 염원한 작품을 설명하고 자신을 위한 염원과 기원으 로 자아의
가치와 효용성을 높이고자 하였다. • 민화는 시점이 많고 원근법이나 사물의 상호 비례관계 등은 무시하고 사물을 평면적으로 표현하는 특징을 보여주고 있는데 가장 뚜렷한 특징은 색채표현에 있다. • 민화의 색은 일상사를 푸른색, 붉은색, 노란색, 검정색, 흰색의 다섯가지 색의 조화와 변화로 본 오행사상에서 유래했으며 그 변화와 배합, 배치에는 회화적인 원칙과 철학적인 뜻이 담겨있다. • 그려진 사물들은 개별적 색채효과에 극대화를
꾀하고 있으며 강렬한 원색이 거리낌없이 사용되고 있다. 이러한 색채사용은 수요자인 서민들의 취향이
원색이 발산하는 감각적 쾌감을 좋아했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고구려벽화나 어린, 여인들의 소품이나 옷 색깔, 색 등에도 나타나듯 아주 오랜 색채 성향에 기인한 것이기도 하다.

qa.PNG

시간 : 12 : 30  ~  2 : 20
           토요일

              9 Weeks / Term 
대상 :  고학년, 성인
​강사 : 전원숙 선생님

bottom of page